
프로세스
프로세스 개요 프로세스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 자체는 디스크 내 파일로 존재하는, 동작을 하지 않는 정적이며 수동적인 개체이기 떄문에 이를 실행시키려면 운영체제로부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등)을 할당받아야 한다. 이처럼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에 들어간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 하며, 프로세스...
프로세스 개요 프로세스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프로그램 자체는 디스크 내 파일로 존재하는, 동작을 하지 않는 정적이며 수동적인 개체이기 떄문에 이를 실행시키려면 운영체제로부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데 필요한 자원들(CPU, 메모리, 입출력장치 등)을 할당받아야 한다. 이처럼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에 들어간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 하며, 프로세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면 데이터를 표의 형태로 정리/정렬할 수 있고, 이는 검색 및 정렬같은 기능들을 빠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데이터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 숫자, 문자, 그림 등 다양한 형태의 기록을 의미한다. 단독으로는 큰 의미를 지니지 않지만, 이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본래 컴퓨터라는 기계는 일종의 데이터 처리기라고 볼 수 있다. 즉, 외부에서 데이터를 입력받고, 내부적으로 처리한 후 이 처리된 결과를 위부로 출력하는 기계로 정의할 수 ...
가상 메모리 가상 메모리는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크기보다 더 큰 기억 공간이 필요한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가상 메모리 개념의 핵심은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의해 참조되는 주소를 메모리에서 사용하는 주소와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디 그리디 알고리즘은 탐욕 알고리즘 또는 욕심쟁이 방법으로 불리는 알고리즘 패러다임이다. 최적해를 구하기 위해 전후 단계에서의 선택은 고려하지 않고 각 단계마다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가장 최선이라고 여겨지는 국부적인 최적해를 선택해 나가면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최적해를 구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적인 전략을 취하는 방법이다. 그리디 방법을 적용하면...
해시 테이블 해시 테이블은 각 위치(슬롯)마다 주소가 부여되어 있는 저장공간으로 기본적으로는 배열의 형태로 볼 수 있다. 탐색 키값을 활요하여 해시 테이블의 주소를 계산하면, 이 주소를 통해 원하는 데이터를 해시 테이블에서 직접적이고 빠르게 탐색할 수 있다. 해시 테이블은 평균적으로 O(1)의 시간 복잡도로 데이터를 검색, 삽입, 삭제할 수 있기 때...
AWS
스터디 시작 정글을 마치고 무엇을 하면 좋을지 몰라 스터디를 모집해봤다. 다행히 같이 하겠다는 사람들이 꽤 있어서 모집은 순탄했으나, 스터디를 해본 적이 없어서(…) 관련 자료들을 찾다가 애를 먹었다. 스터디에서 사람들이 기대하는 효과가 무엇일까? 어떤 방식으로 진행해야 하는가? 무슨 내용을 집중적으로 공부해야 할까? 등등의 고민들을 안고 인터넷...
동적 프로그래밍 우선 전혀 동적이지 않다. 옛날 수학자인 벨만이라는 사람이 고안해낸 기법인데, 그저 단어가 멋있어서(?) 연구비를 위해 선택했다는 일화가 있다(…). 동적 프로그래밍(Dynamic Programming)은 최적화 이론의 한 기술이며, 복잡한 문제를 쪼개어 간단한 부분 문제로 나눈 후에 답을 구하고, 이를 사용해 더 큰 문제의 답을 ...
분할 정복 분할 정복 방법은 하나의 크고 어려운 문제를 두 개 이상의 작고 간단한 하위 문제들로 재귀적으로 분할하고, 이렇게 분할된 문제들을 각각 해결한 후에 해를 결합하여 원래 문제의 해를 구하는 하향식 접근 알고리즘 패러다임이다. 각 호출 시마다 다음과 같은 세 단계의 작업이 이루어진다: 분할(divide) :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