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로그
Preview Image

SQLD: 트랜잭션, NULL, 인조식별자

이기적 SQL 이론 강의 트랜잭션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연산 단위 혹은 논리적인 업무단위이다. 예: 강태우(A계좌)가 김영희(B계좌)에게 1,000,000원을 송금하려고 합니다. 어떤 일련의 과정을 거쳐 송금 업무가 이루어지는지 생각해보자. 1. A의 계좌에 충분한 잔액이 있는지 확인해본다. 2. B계좌가 실제로 존재하는지...

Preview Image

SQLD: 정규화, 관계와 조인

이기적 SQL 이론 강의 1과목의 데이터 모델과 SQL 파트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설계도에서 정규화, 조인, 트랜잭션 등을 파악할 수 있는지 물어보는 문제들이 있다. 정규화 데이터에 대한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가 관심사별로 처리되도록 엔터티를 쪼개 성능을 향상시키는 활동이다. 반정규화: 중복을 포함하며, 엔터티를 합치는 개념이다. ...

Preview Image

SQLD: 엔티티와 속성

이기적 SQLD 이론 강의 데이터베이스와 DBMS 데이터베이스란 구조화된 데이터의 조직화된 모음으로, 여러 사람이 공유하여 사용할 목적으로 생겨났다. DBMS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생성, 수정, 삭제 등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데이터 모델 현실세계의 대상을 추상화, 단순화, 명확하하여 데이터베이스로 표현하는 것을 데이터 모델링이...

Preview Image

가용 리스트

가용 리스트 가용 리스트는 메모리 할당 및 해제를 관리하기 위한 자료구조이며, 동적으로 할당될 수 있는 메모리 블록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즉, 전에 할당되었지만 반환되어 가용 가능한 메모리 블록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가용 리스트는 일반적으로 운영 체제의 메모리 관리자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런타임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명시적 가용 리스트 ...

Preview Image

다익스트라

최단경로 탐색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란 그래프 이론에서 한 노드에서 다른 모든 노드로의 최단 경로를 찾는 기본적인 알고리즘이다. 음의 가중치를 갖는 경로가 있는 경우에는 플로이드-워셜 알고리즘과 벨만-포드 알고리즘이 대안으로 사용된다. 다익스트라 하나의 정점에서 다른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경로를 찾는 알고리즘이다. 그래프의 간선에 음의 가중치가 있다...

Preview Image

클라이언트-서버 구조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혹은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는 서비스 요청자인 클라이언트와, 서비스 자원의 제공자인 서버 간에 작업을 분리시킨 네트워크 아키텍쳐이다. 여기서 클라이언트라 함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PC의 응용 프로그램이며, 서버라 함은 네트워크 상에 구현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써 특정 역할에 특화되어있다. 클라이언트와 ...

Preview Image

[백준] 1446 - 지름길

문제 설명 문제 링크 문제 풀이 최단거리 문제이다. 최단거리 문제를 풀지 않은지 오래되어 어떻게 하는지 까먹어서 일단 최대한 내가 생각해낼 수 있는 방법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우선 지름길의 시작점, 끝점, 거리를 받아 투플로 묶어 ‘지름길 배열’에 넣어줬다. 이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지름길 순으로 우선채택을 해야 할 것 같아 가장 효율적인 지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