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준] 15989 1,2,3 더하기 4
문제 설명 문제 링크 1과 2와 3만을 사용해서 더할 때, 특정 수 n을 만드는 경우의 수가 몇 개 있는 지 푸는 문제이다. 오직 1, 2, 그리고 3을 사용하는 횟수에 따라 경우의 수가 결정되며, 순서만 다른 경우는 같은 경우의 수로 친다. 예로, 4를 1, 2, 3의 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 네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고 한다: 1 +...
문제 설명 문제 링크 1과 2와 3만을 사용해서 더할 때, 특정 수 n을 만드는 경우의 수가 몇 개 있는 지 푸는 문제이다. 오직 1, 2, 그리고 3을 사용하는 횟수에 따라 경우의 수가 결정되며, 순서만 다른 경우는 같은 경우의 수로 친다. 예로, 4를 1, 2, 3의 합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 네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고 한다: 1 +...
문제 설명 문제 링크 길이가 모두 다른 랜선들이 K개 주어졌을 때, 이를 잘라 N개 이상의 같은 길이의 랜선을 만들어야 한다. 이 때, 잘린 랜선의 길이는 가능한 길게 해야한다. 이 문제는 정글 당시에 주어진 문제 중 하나였는데, 그 당시에는 부족한 실력으로 인해 풀지 못하였기에 다시 풀어보기로 했다. 문제 풀이 다시 한 번 이분 탐색 문제이...
정글 회고 목차 Week 0 Week 1 Week 2 Week 3 3주차 굉장히 즐거운 주차였다. 아마 같은 조가 된 종문님과 성주님 덕이 아니었을까 싶다. 두 분 다 너무 유쾌하면서도 공부에 진심이어서 나 또한 함께 즐겁고 열정적으로 공부할 수 있었다. 3주차는 DP와 그리디 알고리즘에 집중했으며, 그 중 LCS, LIS, 배낭 문제 등등 관...
네 번째 스터디 저번 주의 스터디 분량과 내용이 꽤 맘에 들었다. 이렇게 면접 방식으로 내용을 안 보고 대답을 하니 내가 실제로 이해한 것과 단순히 옮겨 적은 게 무엇인지 구분이 되어 복습 측면에서도 도움이 되었다. 이번 주는 지난 주에 이어서 운영체제 부분을 더 다루기로 했다. 이제 스터디에 차차 익숙해지고 있어서 주제 및 질문들, 그리고 풀 문...
문제 설명 문제 링크 방이 1과 0으로 주어지며, 이 중 1은 벽, 0은 청소되지 않은 공간이다. 로봇 청소기는 벽을 넘지 못하며, 빈 공간을 통해서만 이동이 가능하다. 시작 위치와 초기 바라보고 있는 방향이 주어지며, 로봇 청소기는 바라보고 있는 방향 기준으로 앞/뒤로만 이동이 가능하기에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회전을 해야 한다. 문제...
동기화 컴퓨터 과학에서 동기화(Syncrhonization)이란 다수의 스레드나 프로세스 사이에 발생하는 작업의 조율 및 데이터 일관성 유지를 위한 메커니즘이다. 보통 공유 자원에 대한 접근을 조절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공유 자원의 보호: 여러 실행 흐름이 공유 자원에 동시에 접근할 때, 데이터의 일관성...
문제 설명 문제 링크 해당 문제는 전위 순회로 탐색한 트리의 노드 방문 순서가 입력으로 주어지며, 이를 토대로 트리의 각 레벨을 위에서부터 아래로 그리는 문제이다. 문제 풀이 처음에는 단순하게 중위 순회로 주어진 것을 전위 순회로 바꾼 후 출력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하면 루트 노드가 가장 먼저 나오고 레벨대로 나올 거라고 생각했다. i...
그래프 순회 그래프 순회는 이름 그대로 그래프상에서 돌아다니는 것으로,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특정 규칙에 따라 방문함으로써 탐색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순회 방법으로는 깊이 우선 탐색(DFS, Depth First Search)과 너비 우선 탐색(BFS, Breadth First Search)가 있다. 깊이 우선 탐색 (DFS) 깊이 우선 탐색은 ...
정글 회고 목차 Week 0 Week 1 Week 2 2주차 2주차의 알고리즘들이 개인적으로 꽤나 성향에 잘 맞아서인지, 적응이 되어서인지 지난 주보다도 수월했다. 내 바램은 정글에서 강조하는 ‘컴퓨팅 사고로의 전환’이 나에게 일어난 것이길 바라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냉정하게 저 때의 나는 그냥 전보다 적응이 더 된 사람이었다. 2주차때는 우리...
정글 회고 목차 Week 0 Week 1 1주차 본격적으로 정글이 시작됐다. 1주차부터 3주차까지는 알고리즘과 문제 풀이에 집중하는 주차들이다. 물론 이 와중에 Computer Science: A Programmer’s Perspective(이하 CS:APP)을 읽으며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에 대해서도 학습하지만, 코치님들이 직접 알고리즘에 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