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싱
캐싱 캐싱이란 빈번하게 접근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술로, 원래의 느린 저장 매체에서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할 필요를 줄여준다. 데이터의 복사본을 주저장매체보다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저장하여 속도의 향상을 이루어낸다. 캐싱은 브라우저 캐싱, 애플리케이션 레벨 캐싱, 데이터베이스 캐싱 등 다양한 수준에서 구현할...
캐싱 캐싱이란 빈번하게 접근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술로, 원래의 느린 저장 매체에서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야 할 필요를 줄여준다. 데이터의 복사본을 주저장매체보다 더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저장하여 속도의 향상을 이루어낸다. 캐싱은 브라우저 캐싱, 애플리케이션 레벨 캐싱, 데이터베이스 캐싱 등 다양한 수준에서 구현할...
필터링 corou는 루틴과 제품을 검색할 때 필터링을 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우선 두 가지 방법이 떠올랐다. 첫번째는 백엔드에서 getRoutineByFilter/getItemByFilter 메소드를 각각의 service파일에 만드는 것이다. async getRoutineByFilter( skin_type?: number, ski...
배포 백엔드 서버만 EC2에 배포하고, 이를 로컬 데베로 연결할 수는 없을까 생각을 해봤다. 전에 RDS에 배포한 데이터베이스는 과금이 되어 삭제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이를 피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다만, 프로젝트 막바지이기도 하고, 소액의 과금 정도는 배포 수업료라고 생각하면 괜찮아서 그냥 DB와 백엔드 서버 모두 AWS에 배포하는 방향으로 선택...
검색 API 신규 루틴을 등록할 때, 각 단계에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처음 테스팅할 때는 개발자로써 넣은 더미데이터의 item_key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단순히 이를 전달하면 되지만, 실제 사용자는 이런 key값을 알 리가 없다. 그렇다면 제품의 이름을 넣고 찾아야 하는데, 제품 이름이 ‘웰라쥬 리얼 시카 카밍 95 트러블 앰플 50ml (2개...
데이터베이스 문제 연휴를 맞아 블로그는 잠시 휴식을 가졌지만 프로젝트 개발은 꾸준하게 하루에 조금씩이라도 진행했다. 같이 작업중인 성준님과 약 3번의 회의를 가지며 혼자서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들을 함께 조율해나가니 진행이 척척 됐다. 우선 루틴을 추가하는 쪽에서 오류가 있었는데 그 중 백엔드쪽 오류로는 데이터베이스쪽 식별자와 조인 문제가 많았다....
##
AWS RDS 오늘은 정말 많은 것을 수정했다. 우선, 성준님과 보다 수월하게 협업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AWS RDS에 올렸다. AWS RDS를 내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새 데이터베이스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연결 및 보안란 아래에 있는 엔드포인트를 host에 넣어주고,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등록한 username과 password, ...
라우터 현재 상태에서 필요한 라우터들을 모두 구현했다. 초기 피그마로 구상했던 기능들은 모두 엔드포인트를 만들어주어 이제 기획단계에서 잠시 보류했던 주문서 페이지를 만들면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우선 토이 결제모듈을 공부해봐야 한다. figma 기획 미들웨어 미들웨어는 현재 인증 미들웨어와 Rate Limiting 미들웨어가 구현이 되어있...
Cascading 컨트롤러를 구성하던 중, 루틴을 삭제하는 deleteRoutine을 구현해야 했다. 이미 deleteRoutine 서비스는 routine.service.ts에 구현이 되어 있었으나, 이에 대한 컨트롤러를 구현하던 중, routine이 삭제되면 이에 종속적은 routineDetail을 모두 삭제해야 했기 떄문에 고민이 생겼다. 원래...
의존성 주입 Error resolving UserController: Error: Cannot inject the dependency "userService" at position #0 of "UserController" constructor. Reason: Cannot inject the dependency at position #0 of ...